본문 바로가기

엄마, 취미로 재테크 한다.

예금, 적금 이자 계산법 바로 알기

재테크를 처음 시작하면 뭐부터 해야할지 몰라 은행에 있는 예금과 적금부터 알아보게 되는데요.

이자를 보면 예금보다 적금이 이자가 높아서 적금을 넣으시는 분들이 많죠. 그리고 예금과 적금을 넣으면서 이자계산기를 검색하여 계산을 해보시는 분들도 계신데, 왜 이런 금액이 나오는지 사실 이해가 안되는 부분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자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적금 이자 계산법]

최근 5%, 6%가 넘는 고금리 적금이 많이 나왔는데요. 특히 아동수당이 나오면서부터 많은 은행에서 아동수당 돈을 잡으려는 움직임으로 6%가 넘는 적금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지난달 성남 일부 신협에서 최고 6.7% 이율의 적금이 나오기도 했죠)


우리가 10만원씩 1년(12개월)동안 6%의 적금에 돈을 넣는다고 가정했을 때, 


순수하게 우리가 이자를 계산할때엔 

총 납입금액 120만원 x 0.06 (6%) = 72,000원 으로 생각할 수 있겠지만,

은행에서는 이렇게 계산하지 않는다는 점! 아셔야 합니다.


은행에서는 첫달에 10만원이 입금되면, 첫달에 입금된 10만원은 1년(12개월)동안 은행에 있었으니 1년치 이자인 6%를 다 줍니다. (12개월중 12개월)

하지만 2회차는 은행에 11개월만 있었으니 12개월 중 11개월의 이자만 줍니다.

100,000원 x (11/12 x 0.06) = 5,500원 이렇게 되는거죠.


그렇다면 3회차는 10개월, 4회차는 9개월, 5회차는 7개월...................이렇게 받는 이자는 적게 되는거죠.


그래서 총 받을 수 있는 이자가 72,000원이 아니라 39,000원이 되는겁니다.

그리고 여기서 세금을 또 떼어가죠. 15.4%...

그럼 실제로 받을 이자는 32,994원이 됩니다. 

원금과 합치면 1,232,994원이 되는거겠죠!



이자계산기를 돌려본것과 비교해보겠습니다.

똑같죠?


실제로 은행에서는 월단위가 아닌 일단위로 계산한다고 하네요.

한달에 30일인날고 있고, 31일인 날도 있고, 28일이나 29일인 날도 있으니까 말이에요.



[예금 이자 계산법]

예금은 목돈을 한번 넣어놓고 일정기간 후에 돌려받는 것이기 때문에 이자 계산법이 쉬운데요.

원금에 해당 이율 그대로 적용하면 됩니다.


예금은 적금보다 이율이 낮으니, 원금 120만원에 이율 2%로 1년동안 예금을 넣어둔다고 하면,

1,200,000원 x 0.02 (2%) = 24,000원을 이자로 받을 수 있습니다.




0.1%의 이자라도 높은 적금이나 예금을 가입하기 위해 열심히 검색하고, 찾아보기도 하는데요. 이자계산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고 예금이나 적금을 가입하시는게 좋겠죠?^^



오늘 하루 돈 쓰는 하루가 아닌 돈 모으는 하루 되시길 바래요~~^^